본문
경남 창원시는 여름철 폭염으로부터 사회적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해 취약계층 폭염 보호대책을 마련해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9월까지 기초생활수급자, 노인, 장애인 등 폭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건강 관리와 안전 확보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책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혹서기 위기가구 선제적 발굴, 취약계층 대상별 맞춤형 폭염 대응 지원, 냉방(용품)비 지원 및 복지시설 안전관리 강화가 주요 내용이다.
우선 혹서기 복지위기가구 집중 발굴과 지원을 적극 추진하고자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의 빅데이터(6500여 건)를 분석해 여름철 폭염 등으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단전·단수 또는 공과금 등 체납 위기가구를 중점적으로 발굴한다.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 지역 네트워크 중심의 현장 대응을 통해 은둔형 위기가구, 돌봄공백 가구 등 복지위기가구를 신속하게 발굴하고 공공·민간 자원을 연계·지원한다.
독거노인 등 어르신의 건강과 안전관리를 위해 폭염특보 발령 시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르신(6808명)을 대상으로 생활지원사가 유선·방문 등으로 안전을 확인한다.
또한 응급안전안심서비스(3432가구) 및 인공지능 통합돌봄사업(500가구) 이용 가구에 대해서도 댁내 설치된 정보통신기술(ICT) 기기를 통해 폭염에 따른 이상징후나 고위험 상황을 실시간 감지해 신속 대응한다.
각 읍·면·동을 중심으로 독거노인 수시 조사를 강화하고, 인적 안전망을 활용해 주기적인 유선·방문 확인을 통해 폭염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독거노인의 안전을 확보할 계획이다.
본격적인 여름철 폭염이 시작되면서 공공형(노인공익활동사업) 노인일자리 참여 어르신의 건강 보호를 위한 선제적 대응에도 나선다.
기존 월 30시간인 활동 시간을 절반 수준인 최대 월 15시간까지 축소하고, 특히 폭염이 한창일 것으로 예상되는 8월 한 달간(8월1~29일)은 활동을 일시 중단하는 등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활동시간 단축과 중단 조치를 시행하며 활동 재개 시 참여자들에게 폭염 행동요령을 사전 교육하고, 폭염특보 시 실내활동 유도, 일자리 참여 전후 건강 상태 확인, 현장 응급조치 요령 숙지 등의 안전대책도 강화할 방침이다.
축소 운영된 시간은 혹서기 이후 연장 운영하거나 기간을 늘려 소득을 보전할 계획이다.
최영숙 복지여성보건국장은 "폭염으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것은 창원시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라며 "취약계층에 대한 세심한 보호와 실효성 있는 현장 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관련링크
- 이전글창원시, LH 기존주택 전세임대 입주대상자 47가구 모집 25.07.16
- 다음글장애인 학습자들이 그린 작품 전시회…'자립으로 한 걸음' 25.07.08